2025 기준 중위소득 80% 100% 120% 150% + 복지혜택 정리

많은 복지혜택들이 모두에게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중위소득’이라는 수치를 사용한다. 오늘은 올해 내가 어떤 복지혜택을 받아볼 수 있을지 예측해보기 위해 2025 기준 중위소득 80% 100% 120% 150% 금액과 소득별 복지혜택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자.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에서 매년 결정하는 소득기준 금액으로, 국민 전체 소득을 일렬로 세웠을 때 정확히 가운데 있는 국민의 소득을 의미한다. 소득을 1부터 100까지 받는 사람이 1명씩 있다고 하면, 50이 중위소득이라는 이야기다.   기준 중위소득을 바탕으로 국가장학금,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월세지원, 교육급여, 생계급여 등 다양한 복지혜택의 신청 자격이 결정되므로 본인이 복지 혜택을 받던 사람이라면 매년 금액을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연도별 중위소득 알아보기

 

연도별 중위소득

과거부터 현재까지 중위소득은 어느정도 상승해왔는지 살펴보면, 2021년부터 2025년까지 1인 가구 기준 연도별 중위소득 100%는 다음과 같다.

  • 2021년 : 1,827,831원
  • 2022년 : 1,944,812원
  • 2023년 : 2,077,892원
  • 2024년 : 2,228,445원
  • 2025년 : 2,392,013원

  2025-기준-중위소득  

2025 기준 중위소득

그렇다면 2025년 다양한 복지혜택, 정부 지원금들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중위소득은 1인 가구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 60% : 1,435,208원
  • 80% : 1,913,610원
  • 100% : 2,392,013원
  • 120% : 2,870,416원
  • 150% : 3,588,020원
  • 180% : 4,305,623원
  • 200% : 4,784,026원

  중위소득-60%-80%-100%-120%-150%-180%-200%  

중위소득 %별 복지혜택

본인의 소득수준이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확인했다면,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복지혜택은 다음과 같다.  

  • 50% : 교육급여
  • 60% : 국민취업지원혜택
  • 80% : 기저귀바우처, 의료급여, 직업훈련생계비
  • 100% : 청년안심주택,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 120% : 청년국민취업지원, 가족돌봄청년, 행복주택 등
  • 150% : 청년월세지원, 에너지바우처, 장학금 지원
  • 180% : 서울 전월세 이자지원, 청년도약계좌 등
  • 200% : 국가장학금 1유형, 아이돌봄서비스 등

 

소상공인 지원금 부담경감 크레딧 50만원 신청정보

  최근에는 정부의 스탠스 자체가 복지를 늘리는 추세기 때문에 중위소득 기준을 완화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정확한 기준은 매년 발표되는 공고문이나 안내장을 참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복지 및 정책금융 상품은 정부에서 찾아서 지급해주지 않으므로, 본인이 직접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해야 한다. 오늘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댓글 남기기

error: 컨텐츠가 보호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