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매수하고 법무사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셀프등기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오늘은 국민주택채권 매입 기준이 되는 아파트 공시지가(시가표준액) 조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 공시지가는 국민주택채권 매입뿐만 아니라 세금 등 주택 보유 시 내야 하는 비용과 관련된 값이기 때문에 한번쯤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파트 공시지가란?
부동산 세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금액으로, 매년 3월경에 그 해의 공시지가가 발표된다. 이 가격은 취득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등 각종 세금뿐 아니라 대출 한도 산정, 국민주택채권 매입 기준 등 다양한 행정 절차에 활용됩니다.
세금 산정
- 취득세 : 부동산 매매, 증여 등 상속 외 거래에서 부과되는 세금
- 재산세 : 보유한 주택, 토지 등 부동산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 종합부동산세 : 다주택자들이 관심이 많은 종부세 산정 기준이 됨
대출 한도
아파트를 담보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경우, 시가표준액(공시지가)를 기준으로 대출한도를 계산하기도 하므로 대출금액이 중요한 분들은 잘 알아두어야 합니다.
국민주택채권 매입금액
부동산 셀프등기를 할 때 부동산 복비, 취득세뿐만 아니라 국민주택채권을 매입해야 하는데 이 때 시가표준액을 기준으로 가액을 결정하므로 알아두어야 합니다.
아파트 시가표준액 조회방법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접속
- 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에 접속한다.
- 공동주택공시가격 메뉴에서 아파트 주소(동, 호수 포함)를 입력해 조회한다.
공동주택 공시가격 메뉴 선택
사이트에 접속했다면 아래 그림처럼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클릭한다.
아파트 주소 입력 및 열람
본인이 찾는 아파트 주소지를 도로명, 지번 등으로 검색하고 아파트 단지 동호수를 입력하여 ‘열람하기’를 클릭한다.
시가표준액 확인
- 해당 호수의 시가표준액(공시가격)을 확인한다. 단지 내 동·호수, 층수에 따라 금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
시가표준액 관련 추가 Q&A
취득세 산정기준
보통 시가표준액을 취득세 산정 기준으로 사용하지만, 취득가액이 더 높을 경우 취득가액을 기준으로 한다
이의신청 가능 여부
공시가격 발표 후 일정 기간 내에 이의신청이 가능하다. 이의신청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에서 할 수 있다
오늘은 아파트를 보유하거나 취득할 때 세금 산정 기준이 되는 공동주택 공시지가(시가표준액) 조회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