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이 하락없이 꾸준하게 상승함에 따라 퇴직연금, ISA계좌 등 절세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는 국내 상장 S&P500 ETF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기존에 배당금을 자동으로 재투자하던 S&P500 TR ETF 상품이 25년 7월부터 사라지게 되면서 대신 투자할 ETF를 찾는 분들이 많은데 이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ETF 비교 추천을 해보도록 하겠다.
S&P500 ETF란?
미국 주식 지수인 S&P500은 미국 경제를 대표하면 상위 500개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우상향하는 미국 시장에 투자하기 좋은 ETF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미국이 경제 패권국이기 때문에 글로벌 경제 흐름을 따라가기에 가장 좋으면서 리스크가 적은 편이다.
국내 상장 S&P500 ETF
그렇다면 지금부터 국내에 상장된 S&P500 ETF를 자산규모순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TIGER 미국S&P500
TIGER 미국S&P500은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관리하는 ETF로, 국내 상장된 ETF 중 가장 큰 자산 규모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많은 분들이 퇴직연금이나 ISA계좌로 투자하는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 시가총액 : 7조 8,890억원
- 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 상장일 : 2020년 8월 7일
- 운용보수 : 0.020%
- 총 수수료 : 0.1789%
KODEX 미국S&P500
KODEX 미국S&P500은 삼성자산운용에서 관리하는 ETF로, 두번째로 큰 시가총액을 가지고 있다.
아무래도 미래에셋에 비해 후발주자로 등장했기 때문에 시가총액은 적으나, 운용보수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 시가총액 : 3조 8,033억원
-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 상장일 : 2021년 4월 9일
- 운용보수 : 0.009%
- 총 수수료 : 0.1836%
ACE 미국S&P500
ACE 미국S&P500은 한국투자에서 관리하는 ETF로 미래에셋과 함께 상장했지만 다소 규모가 작은 편에 속한다.
아무래도 미래에셋이나 삼성보다는 자산운용사 규모가 작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 시가총액 : 1조 8,865억원
- 운용사 : 한국투자신탁
- 상장일 : 2020년 8월 7일
- 운용보수 : 0.070%
- 총 수수료 : 0.1714%
RISE 미국S&P500
RISE 미국S&P500은 KB자산운용에서 관리하는 ETF로, 기존에는 KBSTAR 미국S&P500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상위 3개 ETF보다는 규모가 적은 편이지만 그래도 약 8천억 이상의 시가총액을 달성하고 있으며, 총 수수료율이 제일 낮다.
- 시가총액 : 8,637억원
- 운용사 : KB자산운용
- 상장일 : 2021년 4월 9일
- 운용보수 : 0.01%
- 총 수수료 : 0.1372%
국내 S&P500 ETF 추천 비교
지금까지 살펴본 국내 S&P500 ETF에 대해서 비교 및 추천을 해보도록 하겠다.
자산규모는 먼저 상장되었던 TIGER 미국S&P500 상품이 크기 때문에, 자산이 많아 거래량이 중요한 분에게 추천한다.
목돈을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하게 적립식으로 투자하고자 하는 분들은 수수료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일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적립식 투자를 하는 분들에게는 KODEX 미국S&P500 상품을 추천한다.
수익률부분에서 약간 차이나는 부분이 바로 운용보수(수수료)로 인한 부분인데, 기간이 길어질수록 격차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국내에 상장되어 퇴직연금이나 연금저축펀드, ISA계좌로 투자할 수 있는 국내 S&P500 ETF 상품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추가로 투자에서 알파를 얻기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원하는 분들은 아래 비트코인 ETF나 다른 글도 참고하기 바란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