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액공제를 위해 IRP 절세계좌를 사용하면서 30% 안전자산 비중 규정이 있어, 공격적인 투자를 못해 아쉬운 사람들이 있다. 오늘은 IRP 계좌에 주식 비중을 더 담을 수 있는 TDF 뜻 장점 그리고 TDF2050 비교 추천까지 해보도록 하겠다.
TDF 뜻
TDF는 Target Date Fund를 줄인 표현으로 개인 투자자 은퇴 시기에 맞춰 주식, 채권, 기타 자산 비중을 조절하여 투자해주는 상품이다.
젊은 나이에는 리스크가 높은 주식 비중을 60~70%까지 가져가고, 은퇴가 다가올 때는 안전자산 비중을 늘려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종합 금융 투자 상품이라고 보면 된다.
TDF 뒤에 숫자는 본인이 은퇴 예정인 연도를 고르면 되는데, 만약 30살이라면 60살 은퇴를 가정해서 TDF2060을 선택하면 된다.
TDF 장점
자산운용사에서 개발, 운용하는 TDF 상품을 IRP에서 투자하면 아래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
- 자동 리밸런싱: 자산배분·비중 조절이 자동으로 이뤄진다.
- 리스크 관리: 은퇴 시점에 자산 안정성 확보
- IRP 안전자산에 포함 : IRP 계좌 내 90% 이상을 주식을 포함하여 공격적으로 운용 가능
TDF 단점
위의 장점들도 있지만 아쉬운 점들도 분명히 있다. 금융투자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본인이 ETF를 구성해서 투자하는게 더 나을 수 있다.
- 상대적으로 높은 보수
- 직접 고르지 않은 주식에도 투자될 수 있다
TDF2050 비교 추천
고려사항
TDF 상품을 IRP 계좌에 매수하기 전에 어떤 요소들을 비교해서 선택하면 좋을지 먼저 알아보자.
- 운용규모 (작을수록 통폐합 가능성/환매 영향)
- 최근, 장기 수익률 비교
- 운용보수(수수료)
- 운용사/투자종목 확인
내 나이인 30대에 은퇴를 조금 일찍한다고 가정하고 상장되어있는 TDF2050 상품들을 비교해보았다. TIGER는 2050이 없어 2045을 가져와보았다.
운용규모
운용규모가 클수록 가격변동이 적고 유동성이 풍부하기도 하고, 많은 사람이 선택한 상품이라는 점에서 일단 좋다.
- KODEX TDF2050액티브 (2,109억원)
- TIGER TDF2045 (1,004억원)
- RISE TDF2050액티브 (222억원)
- ACE TDF2050액티브 (101억원)
운용보수
운용보수는 KODEX가 가장 높고, RISE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운용보수는 지속적으로 변경되니 자산운용사 홈페이지를 확인하기 바란다.
수익률
출시 이후 1개월이 되지 않은 ACE TDF2050액티브가 1위처럼 보이긴 하지만, 실제로는 비슷하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아무래도 투자하는 상품이 대부분 비슷해서 그런게 아닐까. 아래에서 투자 상위종목을 확인해보자.
상위 편입종목
TIGER TDF2045은 채권 이후에 개별 주식으로 투자하는 경우가 많고, 나머지 TDF는 지수TDF에 대부분 투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DF2050 추천 요약
위에서 살펴본 3가지 비교 요소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겠다.
- 운용규모: KODEX >> TIGER > RISE > ACE
- 운용보수: KODEX > ACE >> TIGER > RISE
- 수익률: ACE > RISE = TIGER > KODEX
이까지 살펴보면 운용규모가 크지만 수익률이 낮은 KODEX보다 모든 면에서 평균 이상인 TIGER에 투자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 것 같다.
실제로 IRP 계좌에 투자하기 전에는 다시 한번 ETF Check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최근 수익률를 확인해보고 매수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