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Y QoQ MoM YTD MDD 뜻 투자활용방법

기업 실적발표뿐만 아니라 애널리스트들이 작성하는 기업 레포트를 볼 때 어려운 경제, 투자용어들이 상당히 많이 있다. 그 중에서 오늘은 YoY, QoQ, MoM, YTD, MDD 뜻에 대해서 알아보고 예시까지 살펴보도록 하자.

 

YoY, QoQ, MoM

기업의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 실적과 관련된 증감율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용어로 YoY, QoQ, MoM을 사용한다.

 

YOY-관련기사

 

각각 전년 동기 대비, 직전 분기, 전월 대비 증감율을 줄여서 표현하는 단어인데, 기업 실적을 꾸준히 파악하는데 꼭 필요한 용어니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 YoY(Year on Year) :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
  • QoQ(Quarter on Quarter) : 직전 분기 대비 증감율
  • MoM(Month on Month) : 직전 월 대비 증감율

 

간단하게 예시를 들어보면 2023년 매출액 100억인 회사가 2024년 매출액 120억을 달성했다면, YoY 20% 성장을 했다 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특히 QoQ 증감율은 기업이 영위하는 업종에 따라 계절별로 증감율이 다른 경우도 있으니, 투자하는 기업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파악하는게 중요하다.

 

다트 기업 재무제표 살펴보기

 

YTD

YTD는 연초 대비 주가 증감율을 나타내는 용어로 Year to Date의 줄임말이다. 아래 그림처럼 미국 나스닥100 ETF인 QQQ의 연중 수익률을 클릭하면, 2025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의 주가 변동을 알 수 있다.

 

QQQ-YTD-수익률

 

주식투자, 주가 상승에 대해서 연중 수익률로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YTD라는 용어를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직전 연도에 많이 상승했다면, YTD 수익률이 낮아지더라도 장기 수익률은 높을 수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MDD

마지막으로 주식이나 ETF 투자를 할 때, 변동성을 견디기 어려운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MDD라는 용어다. MDD는 Maximum DrawDown으로 ‘최대 낙폭’, ‘최대 손실폭’을 의미하는데, 아래 예시를 살펴보면 2022년 테슬라 MDD는 -67.72%였다.

 

테슬라-SPY-MDD

 

주식 투자를 할 때 손실회피성이 큰 초보 투자자라고 하면 MDD가 높은 주식이나 ETF 투자를 할 때, 자산분배를 하거나 분할매매하는 방식을 꼭 적용하기 바란다. 상관관계가 낮은 투자자산을 분배하여 투자하면서 MDD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투자활용방법

한국에 있는 많은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기보다 이슈에 많이 끌려다니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미국 주식처럼 투명하게 운영되지 않아서 그런게 아닐까 싶다.

 

그렇지만 꾸준하게 이익을 내고 있고 이익성장률이 큰 기업들이라면 앞으로 주가가 크게 상승할 동력이 될 수 있으니 관심있는 섹터의 기업을 꾸준히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리콘투처럼 꾸준하게 매출과 이익이 성장하는 기업이 있다면 언젠가 주가를 제대로 평가받는 날이 온다는 것을 생각하며 투자하면 좋을 것 같다.

 

실리콘투-재무분석-매출액-성장률

 

그런 기업을 찾는 것이 어렵다면 많은 사람들이 투자하는 주식시장 전체에 배팅할 수 있는 ETF에 대해서 공부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니 아래 글을 참고하자.

 

국내 S&P500 ETF 4가지 비교 추천, 수수료 수익률

 

정리

오늘은 기업 실적 발표 시즌에 맞춰 컨퍼런스콜이나 실적 레포트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경제용어인 YoY, QoQ, MoM, YTD, MDD 뜻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투자하고 있는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수익을 내고 있고 이익성장률이 괜찮은지 살펴보기 위해서 알아두면 좋은 용어들이니 필수적으로 익혀두기 바란다.

댓글 남기기

error: 컨텐츠가 보호됨